전화 문의031-645-9191

에덴 미디어

컬처
2023-09-03

에덴클래식 #29 어렵지만 빠져들게 되는 클래식

브루크너, 교향곡 7번

Bruckner, Symphony No.7 in E major


클래식 음악은 쉽게 다가오지 않는다. 친숙해지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어릴 적에 피아노나 바이올린과 같은 악기를 배웠거나, 클래식 음악을 즐겨 듣는 부모나 형제들 사이에서 성장했을 경우에는 비교적 거부감 없이 클래식 음악을 접하게 되지만 그럴 기회가 없이 성인이 된 대부분 사람에게 클래식 음악은 일부 별난 취미를 가진 계층들만 즐기는 고상한 오락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미지 출처 : wikipedia


은퇴 후 시간적 여유가 많아진 몇몇 친구들은 새로운 취미로 클래식 음악을 즐기고 싶어 하면서 오디오를 장만하고, 연주회장을 찾아가기도 한다. 때로 그 친구들로부터 쉽게 친해질 수 있는 곡들을 추천해 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수많은 명곡 중에서 어떤 곡들을 우선하여 선정할지는 어렵지 않다. 우선 고전주의 작곡가 모차르트, 베토벤, 멘델스존, 차이코프스키 등 낭만주의 작곡가 작품 중에서 비교적 잘 알려진 교향곡이나 협주곡들을 추천하면 대부분 좋아한다. 독주곡이나 실내악곡 중에도 쉽게 친숙해지는 작품들이 있으나, 클래식 음악에 입문하기에는 많은 악기가 한데 어울려 화려하고 강렬하면서도 때로 잔잔한 파도가 서서히 밀려오듯 서정적인 아름다움이 혼재된 화음을 만들어내는 교향곡이 제격이다.


18세기 초까지의 바로크 시대에 조직된 관현악단은 주로 오페라의 서곡을 연주하거나 협주곡에서 독주 악기의 반주 역할을 담당하는 수준이었으나, 18세기 중엽 라인강 상류에 있는 만하임에 당시 유럽 최대의 오케스트라가 조직되면서 교향곡이라는 새로운 양식의 음악이 생겨났다. 다양한 관악기들과 현악기, 그리고 타악기까지 합세한 오케스트라가 주인공이 되는 음악 양식이 탄생한 것이다.



오스트리아 대공이었던 요제프 2세   이미지 출처 : wikipedia


이후 신성로마제국 황제를 겸한 합스부르크가의 계몽주의 군주 요제프 2세가 통치하게 되면서 음악의 중심지는 오스트리아 빈으로 옮겨졌다. 계몽주의 사상은 음악계에도 영향을 미쳐 귀족이나 성직자 등 특권층만을 위한 음악이 아닌 대중적이고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체계가 잡힌 형식으로 구성된 음악이 새로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클래식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소나타 형식(Sonata form)’이 기악곡의 대표적인 악곡 형식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한 것이다.


남성적, 여성적인 두 개의 상반된 주제 선율이 ‘제시’되고, ‘전개’한 후, ‘재현’되는 형식인 ‘소나타형식’은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등 소위 ‘빈 고전파(Wien古典派) 3총사’에 의해 발전되고 완성돼갔다. 3~4개의 독자적인 악장으로 구성되어있는 교향곡Symphony는 제1악장을 이 소나타형식으로 작곡한 관현악곡을 의미한다. 무려 100곡 이상의 교향곡을 작곡한 ‘교향곡의 아버지’ 하이든이 체계를 잡고, 모차르트가 40여 곡의 교향곡을 통해 더욱 충실한 형식과 내용을 지닌 교향곡으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악성 베토벤은 불과 9개의 교향곡으로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교향곡 작곡가로 자리매김했다.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의 초고       이미지 출처 : wikipedia


베토벤이 53세의 나이에 완성한 9번 교향곡 ‘합창’은 빈 고전주의 마지막 교향곡이자 낭만주의 시대를 예견한 작품이기도 하다. 그리고 후대의 많은 낭만주의 작곡가들은 베토벤이 남긴 9개 교향곡의 벽에 부딪혀 쉽사리 교향곡에 손을 대지 못했다.


어릴 적 베토벤의 교향곡을 듣고 감동한 바그너는 훗날 “더 이상 교향곡을 작곡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라는 말과 함께 새로운 개념의 오페라인 ‘음악극’에 전념했고, 리스트는 새로운 관현악곡인 ‘교향시(Symphonic Poem)’라는 장르를 만들어냈다. 베토벤을 예술적 스승으로 삼고 후계자가 되고 싶어 했던 브람스는 첫 교향곡을 구상한 지 23년 만에야 완성할 수 있었다.


그 외 슈베르트, 슈만, 멘델스존, 차이콥스키, 드보르자크 등 위대한 음악가들도 훌륭한 교향곡을 남겼으나 베토벤의 작품에 필적한다고 보긴 어렵다. 오늘날 베토벤을 잇는 가장 위대한 교향곡 작곡가로 브루크너와 말러를 거론하는 음악학자나 애호가들이 많다. 두 작곡가 역시 베토벤을 예술적 스승으로 삼았으나, 교향곡의 세계를 형식과 내용 면에서 한층 더 확장하고 발전시켜 베토벤의 그늘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그렇지만 교향곡 작곡에만 전념했던 그 두 작곡가가 전 생애를 걸쳐 완성하고 발표한 교향곡은 베토벤처럼 9곡을 넘지 못했다.



오스트리아에서 3번째로 큰 도시인 린츠(Linz) 전경        이미지 출처 : wikipedia


베토벤이 마지막 교향곡 ‘합창’을 초연한 1824년, 오스트리아 린츠 근교의 작은 마을에서 베토벤의 작품에 필적할만한 교향곡을 남긴 브루크너(Anton Bruckner, 1824~1896)가 태어났다. 오르가니스트인 아버지로부터 일찍이 음악을 배워 음악가의 길로 들어선 그는 젊은 시절엔 뛰어난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면서 작곡법 공부에 매진했다.


30대 후반에 바그너의 ‘탄호이저(Tannhäuser) 공연을 본 후 그의 음악에 매료된 브루크너는 그간 틈틈이 작곡했던 오르간을 위한 곡이나 종교음악에서 벗어나 대규모 관현악곡 작곡에 전념하기 시작했다. 베토벤의 구성과 슈베르트의 멜로디 그리고 바그너에게서 영감 받은 새로운 화성법을 도입해 이전의 작곡가에게서 볼 수 없던 새로운 교향곡의 세계를 펼쳐나갔다.



브루크너가 태어난 오스트리아 안스펠덴의 집, 현재는 브루크너 박물관    이미지 출처 : wikipedia


42세가 되어서야 완성한 1번 교향곡을 시작으로 56세에 6번째 교향곡까지 완성했으나, 그때까지 브루크너의 교향곡에 대한 당시 음악계의 반응은 냉담한 편이었다. 1시간가량의 긴 연주시간과 장대하고 엄숙하면서도 신비로운 분위기의 그의 교향곡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했고, 지극히 소심하고 겸손한 성격의 브루크너가 자신의 작품에 대한 홍보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점도 작용했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1883년(58세)에 완성해 이듬해 초연된 ‘7번 교향곡’은 대성공이었고, 브루크너는 마침내 위대한 교향곡 작곡가 대열에 합류했다.



프란트 요세프 훈장을 달고있는  브루트너 초상화  이미지 출처 : wikipedia


브루크너의 ‘교향곡 7번’도 이전의 작품들처럼 4악장 구성으로 1시간 넘게 연주되는 장대한 작품이다. 마치 우주의 태동을 연상시키는 듯 한 현악기의 트레몰로로 시작하는 1악장은 점차 호른을 비롯한 관악기들이 합세해 신비로운 화음으로 상승과 하강을 교차해가며 장편의 서사시를 읽듯 전개되다가 화려하고 장대하게 끝을 맺는다.


아다지오의 느린 2악장은 비통하면서도 지극히 아름답다. 작곡 중이던 1883년 어느 날 존경하던 바그너의 타계 소식을 들은 브루크너는 이 2악장을 “대가의 서거를 추모하는 애도의 음악”이라 부르는 한편, 주제 선율을 바그너가 자신의 음악극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든 ‘바그너 튜바(혼과 튜바의 성격을 혼합한 금관악기)’로 연주하게 했다.


20분 넘게 아다지오 빠르기로 비장하게 연주되는 2악장은 바그너를 추모하는 마음을 신께 드리는 기도에 실려 보내는 듯 비장하면서도 숭고하다. 3악장은 2악장의 분위기와 완전 대조적이다. 간결하면서도 쾌활한 느낌의 스케르초 악장이다. 중간에 서정적인 멜로디가 전개되면서 분위기를 바꿔보기도 하지만 이내 해학적인 스케르초로 되돌아와 경쾌하고 역동적으로 끝을 맺는다. 4악장은 앞 3개 악장들의 서로 대조적인 성격을 융합하려는 듯 밝고 때로 서정적이면서도 웅장하고 활기차며, 독실한 신자이기도 했던 브루크너의 신에 대한 찬가인 듯 경건하면서도 장엄하다.


브루크너의 음악은 어렵다. 몇 번을 들어도 쉽게 친숙해지지 않지만 일단 그의 음악 세계에 발을 들여놓으면 신비롭고 장엄하고 심오한 음색에 점차 빠져들게 하는 브루크너만의 매력이 있다.




♬ 연주곡 들어보기


1. Bruckner: Symphony No. 7 / Rattle · Berliner Philharmoniker / Live from Taipei

(교향곡 7번, 2악장 일부) 사이먼 래틀 지휘, 베를린 필하모니




2. Bruckner: Symphony No. 7 / Rattle · Berliner Philharmoniker

(교향곡 7번, 3악장 일부) 사이먼 래틀 지휘, 베를린 필하모니




3. Bruckner: 7. Sinfonie ∙ hr-Sinfonieorchester ∙ Christoph Eschenbach

 (교향곡 7번, 전곡) 크리스토프 에센바흐 지휘, 프랑크푸르트 라디오 심포니





유재후 교수

195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 후 외환은행에 입행, 파리 지점장, 경영지원그룹장 등을 역임했다. 은퇴 후 클래식 음악 관련 글쓰기, 강연 등을 하는 음악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LP로 듣는 클래식 : 유재후의 음악 이야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