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문의031-645-9191

에덴 미디어

에세이
2024-04-03

고령화에 따른 세대간 관계의 변화

이스라엘에서 배운 지혜의 유산


⑥ 고령화에 따른 세대간 관계의 변화


고령화에 따른 세대간 관계의 변화 고령화가 세계적인 현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거의 모든 사회가 인구의 연령분포 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출산율의 감소는 젊은 세대의 감소를 가져오고, 기대수명의 증가로 인해 노년층은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2024년(왼쪽)과 2050년(오른쪽) 이스라엘의 인구 비율   출처 : PopulationPyramid.net


이 현상은 이제 노년층을 돌볼 젊은 세대가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혼율의 증가와 여성인구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도 이러한 현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족들은 이제 뿔뿔이 흩어져 살아가는 추세이며, 개인화가 심해져 상대적으로 사회적-지리적 이동성이 적은 노년층과의 접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일반적인 이러한 경향들은 전통적인 가족구조를 파괴하는 요인으로 여겨지며 위험하게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단순히 이러한 사회적 측면만 바라보며 이제 세대간 관계는 거의 단절될 것처럼 말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오히려 예전에 비해 성인 가족 구성원 사이의 세대 간 관계는 이전 수십 년에 비해 오늘날 더욱 중요할 수 있다. 이는 개인의 수명이 길어지고, 다른 세대와 더 많은 시간을 공유하며, 더 많은 경험을 나누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잡한 세대 간 관계적 측면을 바라보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몇 가지 이론적 접근이 제시된다.



Vern Bengtson(1941-2019)   출처 : gero.usc.edu


이론적 접근은 USC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노인학 교수인 Bengtson의 연대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스라엘 사회에서도 연대 이론은 매우 중요하고, 세대 간 관계의 측면들을 살펴보면 아마 세대 간 연대가 앞으로의 지속가능한 사회유지를 위해 예전에 비해 더 중요하게 여겨지게 될 것이라는 점이 분명해진다.


1. 세대 간 연대의 중요성 이 모델은 다차원적인 세대 간 가족 연대를 행동적, 감정적, 인지적, 구조적 가족 관계의 측면을 반영하는 여섯 가지 구성 요소를 통해 구성한다. 구성요소로는 가족 구조, 세대 간 지리적 근접성, 그들 사이의 관계 패턴, 지원 및 도움의 패턴, 감정적 친밀감 및 가치에 대한 합의, 그리고 규범적 연대 등이 구성요소인데, 거두절미하고 이러한 기준을 통해 바라보는 세대 간 관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의 결속이라는 것이다. 가족의 결속이 노년기의 개인적 복지와 수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이스라엘에서도 가족 및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소속감이 노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 가족 내에서 세대 간 교환의 중요성 노인들은 주로 도움, 지원, 그리고 보조를 받는 입장에 있으며, 그들이 주는 것보다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사회적 시각이다. 이는 그들의 자원이 감소하고 기능적 및 건강 상태가 저하되었기 때문이며,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취약한 집단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그들은 가족 내에서 더 젊은 세대와의 교환적 관계에서 열등한 위치에 있게 된다. 교환에서 줄 것이 없고 주로 받기만 하는 쪽은 힘이 없고, 자원이 있는 쪽, 즉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쪽은 힘이 있다고 여겨진다. 성인자녀에게 일반적 도움을 받는 노년층은 그래서 자녀계층에 의존적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고, 이는 노인과 그들의 성인 자녀 사이의 관계에 있어 비대칭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출처 : Pixabay


반적으로 부양하는 성인 자녀가 주로 자원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사실 현대사회에서 노년층이 가진 다양한 종류의 자원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는 손자, 손녀들의 교육을 지원하고, 선물을 주며, 그들을 돌보아 주기도 한다.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측면에서 조언 및 지지를 통한 지원이 가능하다. 결국 주고받음의 상호적 균형이 유지될수록 세대 간 건강한 관계가 유지된다.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의 경우 쇼핑, 운전, 가사노동 등의 일상적인 도움은 부모세대가 더 많이 받는데 비해 금전적인 도움의 경우 부모세대가 더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감정적 지원의 경우 양방향 모두 높은 수준으로 주고받는다고 나타난다. 이를 통해 균형 있는 관계적 모습이 이스라엘의 가족들에게 나타나는데, 이는 이스라엘이 가진 부모에 대한 강한 의무적 규범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출처 : Pixabay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는 사회적-전통적 규범이 강하게 작용하여 성인 자녀들은 부모세대와 아주 멀리 떨어져 살기보다 적당한 거리를 두고 거주하며 부모에게 일상적 도움을 주고 부모세대는 재정적 지원과 함께 서로 간 감정적 교류를 지속한다. 자녀가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인식이 과거만큼 강하지 않기 때문에 균형 잡힌 세대 간 교환의 관계는 변해가는 사회의 모습 속에서 지역사회뿐 아니라, 사막화되어가는 세대 간 관계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안겨준다.


세대 간 관계의 변화가 단지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노년층이 성인 자녀에게 의존해야 하는 시기가 오는 전환기에 세대 간 연대를 구축함에 앞서 갈등과 애매모호함의 상태가 일어난다. 하지만 이스라엘의 경우 가족 간 행동-구조적(지리적 근접성), 정서적-인지적 차원에서 강력한 연대를 보여준다.



출처 : Pixabay


유럽의 스페인, 독일, 노르웨이, 영국 등에 비해 이스라엘은 월등히 높은 가족 간 연대를 보여준다. 결국 갈등과 애매모호함의 상태가 세대 간 관계에 있어 큰 장애물이 될 것으로 학자들이 주장하지만, 결국 강한 가족적 유대는 이 시기를 크게 줄여준다.


이스라엘의 경우 자녀들은 부모와의 거리가 멀지 않게 거주하는 경향이 있고, 부모들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과거의 투자에 대한 보상을 받는 권리에 대한 인식이 꽤 높다. 이는 자녀세대와 부모세대 모두 서로에 대한 책임을 나누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 사실은 이스라엘은 여전히 가족중심적인 사회임을 보여준다.



탈무드 타아닛 Vilna edition 표지   출처 : Wikipedia


왜 이렇게 이스라엘은 가족에 대한 연대가 강할까? 자녀와 부모 모두 서로에 대한 책임을 강하게 갖는 이유는 이스라엘이라는 나라가 가진 전통적인 성경적, 신앙정체성과 관련이 있다. 관련하여 탈무드 타아닛¹⁾ 23A:15에는 유대인 가족에 대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Talmud Taanit 23A:15   출처 : sefaria.org


탈무드에 나오는 랍비인 호니(Honi)라는 인물(기원전 1세기에 실제로 살았던 인물)에 관한 이야기이다. 호니는 어느 날 한 남자가 쥐엄나무를 심고 있는 것을 보고 그 남자에게 물었다. “이 쥐엄나무가 열매를 맺기까지 얼마나 걸릴까요?” 그 남자는 “70년이 걸립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호니가 그에게 말했다. “당신이 70년 더 살 거라고 생각하나요?” 즉, 자신에게 어떠한 이득도 주지 못할 일에 왜 힘을 쓰는가 하는 의미였다. 이에 대해 그 남자는 이렇게 말했다. “나의 조상이 나를 위해 심었습니다. 마찬가지로 나도 내 자녀들을 위해 심고 있습니다. (I found a fruitful world, because my ancestors planted it for me. Likewise I am planting for my children.)”


이 이야기는 부모가 자녀에게 쥐엄나무 열매를 물려주는 이야기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런데 쥐엄나무가 누가복음 15:16절의 탕자이야기 가운데 돼지가 먹는 음식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자식에게 물려주기 적합한 열매인가? 라고 의심할 수도 있다.



쥐엄나무(왼쪽)와 열매(오른쪽)   출처 : Wikipedia


하지만 이 나무야말로 부모의 배려와 사랑이 가득히 있는 나무이다. 쥐엄나무의 열매는 콩꼬투리 모양을 가지고 있고, 그 안에는 과육이 있는데, 그 맛이 초콜릿과 비슷하다. 열매는 비타민, 단백질, 무기질 등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고 한다. 이 열매는 가뭄이 심할 때 사람들이 배를 채우는 용도로 쓰였다고 한다. 그래서 여기서 이야기하는 쥐엄나무는 부모가 70년이 지나 자신들은 살아있지 않더라도 그들의 자손들이 혹시 모를 가뭄과 같은 상황에서 부모가 심어놓은 쥐엄열매를 통해 자녀들이 살아남게 된다면, 부모는 그 가르침과 배려를 다 한 것이라는 것이다.


아직까지 이스라엘이 세대 간 시대적 변화를 겪으면서도 강한 가족 간의 유대감을 유지하는 이유는 이러한 전통적-성경적 가르침이 이들의 삶 가운데 크게 작용하고 있고, 여전히 이 가치 안에서 부모와 자식 모두 균형 있는 부모-자식 간의 세대 간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1) 탈무드 타아닛은 유대교의 구전 법전인 탈무드의 일부로, 유대인의 금식과 관련된 법률과 전통을 다루는 책이다. 이 책은 특히 가뭄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공동체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금식의 규정과 목적, 그리고 기도와 회개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이범수 지역전문

20여 년 동안 이스라엘에 거주하며 이스라엘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성서학과를 졸업하고 Bar ilan University에서 이스라엘 학을 전공하였다. 주이 한국 대사관과 팔레스타인 대표사무소에 근무하며 지역 전반에 걸친 현안들을 경험하였고 현재 이스라엘 성서, 역사, 지리, 문화, 언어,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글을 쓰고 있다.